정부, 관세 대응 ‘영국산 구매’ 캠페인 거부

영국 정부는 'Buy British' 캠페인을 거부하며 개방된 무역을 강조하고, 미국의 관세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통해 국제 협력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Buy British'





영국 정부의 ‘Buy British’ 캠페인 거부

영국 정부의 ‘Buy British’ 캠페인 거부

최근 영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Buy British’ 캠페인을 공식적으로 지지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공식 대변인은 영국이 “개방된 무역 국가”라며, 국민들에게 어디서 물건을 구매할지를 강요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관세 문제에 대한 정부의 신중한 접근을 보여줍니다.

재무장관 레이첼 리브스는 이 캠페인이 “내향적”이며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자유민주당의 국민들에게 더 많은 영국산 제품 구매를 촉구하는 요청에 대한 반응으로, 정부는 영국 기업들이 정부 계약에 입찰할 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화이트홀 조달 규칙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관련 글 보기

정부는 미국이 영국 제품에 10%의 수입세를 부과한 것에 대해 즉각적인 보복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총리는 하원에서 “필요할 경우 보복 조치를 고려하겠다”고 하면서도, “양국 간의 협상으로 관세를 완화하는 것이 더 낫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무역 전쟁을 피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합니다.

자유민주당의 재무 대변인 데이지 쿠퍼는 정부가 국민들의 생활비에 미치는 영향을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영국이 트럼프의 관세에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소비자 제품을 위한 새로운 ‘Made in Britain’ 로고 캠페인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리브스 장관은 “무역 장벽을 높이는 것은 우리나라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총리의 공식 대변인은 ‘Buy British’ 캠페인을 거부했지만, 정부는 항상 영국 생산자와 제조업체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영국 정부가 국제 무역에서의 협력을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각국이 자국 제품만을 선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의 무역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출처: BBC 원문 기사 보기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